인근 시‧군 사례 참고해야

서울역 환승센터 전경. 승강장별로 목적지에 따라 버스가 들어오고, 이용객들이 기다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역과도 인접해 버스-전철(기차)간 대중교통 연계가 용이하다.

현재 경기도 내에서 지선-간선 교통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없다. 다만 가평 등 다수의 지자체가 연내 도입을 추진 중이다. 여주시는 이보다 이른 지난 2013년 도입을 시도했다 포기한 바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개편 18일 만에 백기든 여주시

여주시는 2013년 1월 시내버스 노선을 간선-지선체계로 전면 개편했다. 사업비 3억원을 들여 공영버스 9대를 추가로 구입하고(기존34대-43대로 증가) 160여개에 달하던 복잡한 노선과 번호체계를 82개로 정리했다. 운행횟수는 기존 325회에서 개편 후 435회로 증가했다.

버스노선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노선변경에 대한 사전홍보 부족과 이용객들에게 환승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끌어내지 못하면서 개편 18일 만에(1월28일~2월15일) 환승제를 폐지했다.

양평군 지방대중교통계획 보고서에서는 ‘시내버스 총 운행대수의 부족으로 인한 적정배차간격 수립실패로 간선버스와 지선버스간 연계가 단절돼 환승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비효율적 개편이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세 차례 주민설명회 가진 가평군

가평군은 내년 1월부터 간선-지선체계로 개편한 시내버스 노선을 본격 운영한다. 개편안에 따르면 불필요한 노선, 중복노선의 정리를 통해 현재 69개 노선을 46개 노선으로 감축하고 운행횟수는 357회에서 422회 늘렸다.

가평, 설악, 청평, 상·조종면, 북면 등 5개 거점지역을 연결하는 간선과 5개 거점 내에서 마을을 연결하는 지선체계를 구축했다. 2개 환승거점은 기존 터미널을 활용하고 3개 지점은 차고지 부지를 매입하거나 임차해 사용할 계획이다.

가평군도 양평과 마찬가지로 1개 민영버스회사가 44대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용역결과에 따라 효율적 운행을 위해 버스는 4대, 운전기사는 9명이 충원될 예정이다.

가평군 담당자는 “군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게 되면 주민반대에 부딪칠 수 있는 만큼 3차 설명회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운행시간, 배차간격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2시간제 등 노동환경의 변화와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대중교통의 변화, 확충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같은 이유로 간선-지선제 등 버스체계 개편을 추진하게 된다면 양평도 환승에 대한 인식, 버스확충 등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반드시 고민해봐야 한다.

 

원주시의 공영버스 ‘누리버스’

◇지선-간선 운영 예산 얼마나 들까?

-원주시와 춘천시 사례

원주시는 지난 5월 일부 지역에서 공영버스 ‘누리버스’의 운영을 시작했다. 8대의 버스가 19개 노선을 운영한다. 노선마다 차이는 있지만 2시간 간격으로 운영되고, 공영버스 투입에 따라 비수익노선이었던 기존 민영노선은 폐지됐다.

원주시는 8대의 차량구입비에 6억원, 버스운전기사 인건비(23명) 및 기타운영비, 유류비 등에 올해 말까지 약 8개월간 1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춘천시는 오는 11월 마을버스 ‘봄봄’을 투입해 노선을 개편한다. 비수익노선이었던 기존 시내버스의 읍면 노선을 폐지하고 10개 읍면을 3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 당 8~11대의 마을버스를 투입했다.

춘천시는 공개모집한 민영업체 2곳에 노선운행을 맡기고 차량구입비와 운영비를 지원한다. 25인승버스의 차량가액은 1대당 6073만원으로 내부비용까지 포함해 차량구입비 2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군에서 80%를 지원하고 운영업체가 20%를 부담한다.

기존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버스운영에 대한 손실보상금, 환승, 청소년 할인 등을 포함한 운영비를 지원한다.

 

‘2017년 양평군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연령별로는 10대(25%)와 20대(16%)가 주교통수단으로 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화 과정에서 버스이용률이 높은 10대-20대 실 이용자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연간 차량구입비 3억원, 운영비 20억원 이상 예상

군에서 지간선 체계개편, 또는 간선-지선 공영버스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버스구입비 25인승 5280만원~7500만원, 35인승 1억1000만원이 필요하다.

간선의 경우 금강고속의 현재 노선을 활용하고 비수익노선 대신 12개 읍면에 지선버스로 25인승 2대, 35인승 1대를 투입한다고 가정하면 차량구입에 필요한 예산은 25억~31억이다. 버스의 차령 9년으로 나눠보면 1년에 2억8000만원~3억4000만원이 필요하다.

공영버스로 운영하게 되면 노선 당 운영비는 1개월에 400~650만원 수준이다. 1개 버스가 1개 노선을 순환 운행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17억~28억의 예산이 필요한 셈이다. 단, 비수익노선이었던 기존 민영노선이 폐지되면 운수회사에 지급했던 보전금을 낮출 수 있다.

원주시 버스 담당자는 “운영초기인 만큼 확신할 수는 없지만 비수익노선 손실보상금 등 운수업체에 지불했던 손실보존금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선개편으로 비수익노선을 폐지하고 기존 운수회사에서 운영을 맡는다고 가정하면 지원 비율에 따라 연간 운영비는 더 감소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운영 시 소요금액 등 예산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환승지원, 환승센터건립 등 추가적 요소까지 고려한 연구용역, 시범사업 등 고민이 필요하다. 하지만 양평군이 운수회사에 국도비 포함 연간 20억원의 운영비를 지원하는 것을 감안하면 논의의 필요성은 있어 보인다.

 

취재수첩_ 주민요구 담은 효율적 정책 기대

“버스 정책은 풍선 같다.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튀어나온다.”

대중교통 민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나온 교통과 담당자의 말이다. 그는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대중교통정책을 변경하고 계획을 추진하지만 막상 실행해보면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 같은 생각이 아닌 주민들에게 연락이 오곤 한다. 그만큼 정책을 변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양평군이 주민들을 위해 존재하는 한 주민들의 요구, 민원 해결은 언제나 우선돼야할 문제다. 하지만 정책 추진에 있어 더 좋은 방향의 효율적인 정책이 있다면 공론화과정을 통해 주민들에게 더 좋은 방안을 안내하고 제도를 변경하는 것도 군의 역할이다.

대중교통, 버스는 주민의 발이다. 그만큼 노선체계의 개편 시 주민의견 수렴 절차가 가장 우선돼야한다. 요식행위로 치러질 것이 아니라 정책 추진 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시간에 최대한 많은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주민불편과 민원 없는 정책 추진이 가능하다.

간선-지선체계로의 노선 개편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것이 ‘환승’에 대한 인식문제라면 행복버스, 시범사업 등을 통해 환승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을 줄일 방안을 고민해야한다.

간선-지선체계는 양평군처럼 버스배차대수가 적고 대중교통 이용률이 낮은 농촌지역에 배차간격을 줄여 주민편의를 높일 방안으로 제안되는 정책이다. 연간 20억원의 보조금을 투입함에도 5%의 주민만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주민들의 불편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현재 노선 체계의 비효율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주민의 발’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버스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을 확충하고 효율적 운영방안을 고민해 버스노선체계를 개편해야 한다.

저작권자 © 양평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