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칼럼-김창환 양평중학교 과학교사>

지난 7일, JTBC 뉴스룸 탐사플러스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하 4대강사업) 양평지구에 문화재 매립 추정지역이 보도되어 양평군민들을 안타깝게 했다. 보도된 장소는 양평지구 유물산포지 5구역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로 확인됐다.

4대강사업 양평지구는 인접한 광주시와 남양주시, 여주시의 경계까지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는 한강권역에 해당된다. 4대강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문화재 훼손 문제는 2014년 국무조정실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의 조사결과 확인된 사례에 대해 문화재청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하면서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한강권역(6건), 낙동강권역(20건), 금강권역(3건), 영산강권역(4건) 등 총 33건의 위반건수를 문화재보호법 위반으로 수사 의뢰했다. 양평지구의 문화재 추정지역인 유물산포지5(광주시 남종면)에는 저수시설이 들어섰고, 유물산포지15(여주시 금사면)는 공사 사무실과 공원이 설치되어 수사 대상이 됐다.

사실 양평지구는 2013년 감사원의 감사결과보고서인 ‘4대강 살리기 사업 매장문화재 조사 및 보호실태’에서도 여러 곳이 지적됐다. 감사원은 유물산포지인 강하면(운심리), 강상면(교평리, 병산리, 세월리), 양서면(도곡리, 대심리), 서종면(문호리), 옥천면(아신리), 양평읍(양근리) 등 매장문화재 확인절차 없이 시행되는 공사구간에 대해 입회조사를 요청하고, 공사 내용이 계획과 다르거나 문화재 보존대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아니한 지역을 문화재청에 통보했다.

특히 유물산포지26(양근리)는 공사 시 기존의 지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복토하여 작업해야 하나 오히려 절토하여 작업이 시행되어 문화재 보존대책 부실 이행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유물산포지24(아신리)의 경우 성토를 한 후 콘크리트포장 공사를 시행하기로 계획을 수립하고도 공사 구간과의 중첩 여부를 제출하지 않고 공사를 시행하였고 유물산포지22(대심리)의 경우 협의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도로를 건설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보호법’과 ‘매장문화재발굴조사에 관한 법’에 의하면 유물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곳에 공사가 행해질 경우 반드시 문화재 조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공사 구역이 변경될 때도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변경구역의 발굴조사를 시행해야 하고 보존대책을 지방자치단체장에게도 통보해야 하지만 절차가 무시되었다. 결국 4대강 사업은 매장문화재 보호를 위한 법적 절차를 재대로 수행하지 않았던 것이다.

강은 인류 문명의 발상지이자 문화의 중심지이다. 남한강이 흐르는 양평은 소규모 하천들이 합류하는 지점들이 많아 강변을 따라 오래전부터 선조들이 정착한 지역이다.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등 선사문화가 형성되었을 뿐더러 삼한과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가 이어졌다. 이런 문화의 흔적들은 양평 지역 곳곳에 매장되어 있을 것이다.

양평은 최근 몇 년 사이 다양한 매장문화재가 발굴되고 있다. 두물머리에서는 청동기, 원삼국, 조선시대의 유물이 발굴됐고, 지평면 대평리에서는 신라 고분군이 발견됐다. 작년 옥천면 밭에서 주먹도끼가 발견되어 전곡선사박물관에서 기초조사를 실시했지만 발굴조사는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4대강 표본시굴조사에서도 옥천면에 조선시대 자기편, 아신리에 원삼국시대의 타날문토기편과 막새기와 등이 수습된 바 있다. 병산리에서도 고려와 조선시대의 자기편, 도기편, 기와편이 발견됐다.

하지만 양평의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보존대책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석묘가 70여기로 보고되어 있지만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개군면 상자포리에서 여주 이포보 인근에 널리 분포되어 있던 선사유적들은 4대강 수변공원 조성으로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훼손된 지석묘와 받침돌은 마을 주변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그나마 발굴된 유물들도 연구소나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양평군과 양평군의회는 매장문화재 발굴과 회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양평지역의 매장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양평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