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베이비부머 851명 대상 실태조사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들의 성공적인 노년을 지원하기 위한 노인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신노년층(1955년~1963년생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실태를 조사하고 준비된 노년을 위한 노후준비 지원체계를 제안하는 <신노년층, 신세대인가 신빈곤층인가> 보고서를 지난 4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경기도 베이비부머 8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후준비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노년층의 두 가지 모습’, ‘경기도 신노년층 노후준비 실태’, ‘신노년층 정책방향’ 등으로 구성됐다. 본지는 <신노년층, 신세대인가 신빈곤층인가> 보고서를 3회에 걸쳐 자세히 소개한다. 첫 순서로 ‘신노년층의 두 가지 모습’을 싣는다.

신노년층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부터 가족계획정책이 시행된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로, 70년대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주역이다. 2016년 6월 기준 전체 인구의 14.2%인 731만8501명이다. 양평군의 경우는 전체 인구의 17.5%인 1만9246명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이제 막 시작된 이들의 은퇴기간은 20~30여년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평균수명 증가로 장기화된 노년기를 맞이할 새로운 노인집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주목받는 이유는 또 있다.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구매력을 갖추고 있고, 여가․취미생활이나 소비패턴도 기존 세대와는 차별화된 신세대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국민여행실태조사의 연령별 해외여행출국자 비율을 보면 50대는 2009년 20.6%에서 2015년 39.1%, 60대는 10.1%에서 19.4%로 빠르게 증가했다.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보호대상으로서의 노인이 아닌 자녀 세대로부터의 독립된 생활을 원하고 사회참여와 여가․취미에 관한 욕구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장기화된 노년기에 대한 준비부족과 노후준비 양극화로 신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 또한 다수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노후에 적자가 예상되는 가구의 비중은 주택․농지연금 활용 여부에 따라 19~34%로 나타났다. 신노년층 4가구 중 1가구는 현재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으로 절대적 빈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신노년층은 40대에 외환위기의 충격을 겪었고, 부모부양과 자녀양육으로 노후준비에 소홀한 반면 자녀세대의 부양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 기존 세대보다 더 심각한 노후빈곤에 처할 수 있다. 경제적 노후준비의 장애 요인으로는 ‘자녀의 양육․교육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낮은 소득수준’이 뒤를 이었다. 자녀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057만원으로 조사됐다.

노인자살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도 눈여겨보아야 할 현상이다.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000년 34.2명에서 2010년 80.3명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 통계청의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이 자살을 생각하는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이 40.4%로 가장 많았고, 건강악화(24.4%), 외로움(13.3%), 대인관계 단절(11.5%) 순이었다.

경기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고령화로 전대미문의 노인인구집단이 등장하고, 이들이 집단적으로 장기화된 노년기를 맞이하는 상황에서 노년에 대한 준비를 개인에게만 전적으로 맡길 수 없는 상황으로 진단했다.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해 경제적 노후준비 뿐만 아니라 여가․취미, 대인관계, 건강 등 다차원적인 노후준비가 가능하도록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양평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